We create a bettertomorrow
국민 행복과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는 글로벌 식품연구기관 KFRI
-
국민건강증진
- 항 피부노화 식품소재 발굴 및 작용기작 규명
- 재래간장 유래 당화합물 합성 및 짠맛증강 활성평가
-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한 장내 미생물 분석
- 해양자원으로부터 수면유도 건강식품 소재 발굴
-
국민안전먹거리 제공
- 항생제 내성균의 인체노출 확률 모델 개발 및 평가
- 테라헤르츠 분광/영상 기술기반 식품 이물질 실시간 탐지기술
- 에너지리사이클링 기술을 적용한 통합형 수배송 시스템 개발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건조기술 개발
-
식품산업 경쟁력 강화
- 쌀의 식미 및 감각 평가
- 해조류 가공식품 개발
- 기능성 소재의 환경 친화적 추출기술 개발
- 수확 후 관리기술 및 고부가가치 가공제품 개발
-
기타 연구분야
- 전통식품의 역사, 과학적 근거기반 콘텐츠 구축 및 활용
- 식품분야 국가지식 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 우리 술 전문가 양성교육
- 미얀마 농산물 수확 후 기술관리 지원사업
-
보도자료
식품연, 노쇠 완화 위한 약물 재창출 가능성 제시
식품연, 노쇠 완화 위한 약물 재창출 가능성 제시 - 기존 촌충 감염 치료제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 완화 기능 규명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이 기존 약물을 활용하는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 전략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가 노쇠를 완화하고 신체 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노화는 누구에게나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인 반면, 노쇠(frailty)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약해지고 질병에 취약해지는 상태이다. 노쇠는 건강한 노년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므로 조기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나, 현재까지 노쇠 치료를 위한 약물이 없는 상황이다. 식품연 정창화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시판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을 새로운 질환의 치료에 활용하는 약물 재창출 전략에 주목했다. 그 결과 예쁜꼬마선충(C. elegans) 기반 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해 발굴한 FDA 승인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가 노쇠 치료에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원래 촌충 감염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약물로, 오랜 사용을 통해 높은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제조비용이 낮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며, 최근에는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지면서 여러 질환에서 활용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니클로사마이드가 실험용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쇠 관련 특징들을 개선했으며, 노화 생쥐에서도 노쇠지표를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니클로사마이드는 노화로 인해 근육량이 감소한 생쥐의 대퇴근, 비복근, 삼두근 등 주요 골격근에서 근육량을 유의미하게 회복시켰다. 또한 골격근 내 노화세포의 지표로 알려진 p16, p21, p53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개선하여 에너지 대사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니클로사마이드가 노화로 인한 근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대사기능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예방 기전(mechanism)으로는 노화로 인해 과활성화된 mTORC1 신호경로를 조절하여 근육단백질 분해를 유발하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억제하고, 자가포식 플럭스(autophagy flux) 기능을 회복해 단백질 항상성(proteostasis)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다학제(multidisciplinary)분야의 국제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F 13)’에 게재되었다. 식품기능연구본부장 정창화 박사는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예방 효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 확인된 것”이라며, “노쇠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로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5. 8. 13 -
보도자료
식품 속 숨은 정보, 이제는 ‘클린라벨’로 한눈에!
식품 속 숨은 정보, 이제는 ‘클린라벨’로 한눈에! - 식품연, 합성 첨가물 줄이고 소비자 신뢰 높이는 새로운 인증제도 마련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은 소비자가 보다 안심하고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내 가공식품 산업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식품 인증제도인 ‘클린라벨(Clean Label)’ 인증 제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한국식품과학회에서 단체표준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오는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클린라벨 인증’은 가공식품에 불필요한 식품첨가물의 사용을 줄이고,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클린라벨은 건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식품 선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식품연이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품 구매 형태 및 클린라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식품 구매 시 가장 우려하는 요소로 ▲식품첨가물(23.7%) ▲환경호르몬(19.5%) ▲칼로리(17.5%) 등이 꼽혔다. 또한 “첨가물을 줄이거나 무첨가 식품에 더 신뢰가 간다”는 응답의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72.8점으로, 소비자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높은 경각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클린라벨은 1990년 영국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간단하고 투명한 성분명 사용, 자연 유래 또는 최소 가공 원재료 사용, 화학적 합성첨가물 지양 등을 원칙으로 한다. 이번 국내 인증제도는 이를 바탕으로 ▲합성첨가물 미사용, ▲유전자변형생물(GMO) 원료 및 방사선 조사 성분 배제, ▲위생적인 제조공정 확보 등 건강한 가공식품 생산을 위한 구체적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클린라벨 인증은 ‘단체표준’ 형태로 제정되며,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원료 성분, 제조 환경, 품질 검사 결과 등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에는 겉포장에 인증 마크가 부착되어, 소비자가 한눈에 확인하고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인증 이후에도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통해 신뢰를 유지할 예정이다. 해당 인증제도는 2025년 7월 한 달간의 단체표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2025년 내 정식 시행된다. 인증 운영은 (사)한국로하스협회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현재 협회는 인증 업무 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인증을 신청하려는 기업은 인증신청서, 식품품목제조보고서, 원료수급확인서, 시험성적서, 사업자등록증 등 품질 검증에 필요한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식품연은 제도 시행 이후, 관련 기업의 인증 획득을 지원하고,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의 도입을 통해 ▲식품 제조 현장의 품질 관리 수준 향상 ▲식품기업의 가공 품질 경쟁력 강화 ▲국민 건강 증진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식품 원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건강한 식품 가공’ 문화를 확산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연 최윤상 박사는 “클린라벨 인증은 국민이 믿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선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과학적 장치”라며,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이 제도를 통해 건강한 식품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5. 8. 13 -
채용정보
2025년 제2차 박사후연구원 채용 공고
지원서 작성 세부 사항은 첨부된 공고문 및 연수제안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서 제출 시 제출서류는 'PDF'로 업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2025. 8. 8
-
공지사항
2025년 2분기 우수수산식품(수산전통식품)인증 취소 업체 공지
1. 관련: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9조(수산전통식품의 품질인증), 제36조(인증의 취소), 제42조(청문 등), 행정절차법 제27조(의견제출) 및 한국식품연구원 수산전통식품 품질인증 업무규정 제21조(인증의 취소) 2. 관련 호에 따라 기한 내 정기심사 미실시 업체에 대한 의견제출을 요청하였으나, 기한 내 의견 미제출로 인하여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36조1의2 및 「행정절차법」 제27조에 따라 해당 인증이 아래와 같이 취소되었음을 공지합니다. 3. 아울러 인증취소일로부터 1년간 동일 인증 취득이 불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가. 인증취소일자: 2025. 7. 18.(2025년 제11차 우수식품인증 심의 의결일) 나. 취소사유: 정당한 사유 없이 정기심사 미실시 다. 인증 취소 내용 구분 인증번호 (인증시작일) 업체명 (대표자) 규격명 취소사유 심의결과 비고 수산전통 해양수산 전통 제189호 (2018.05.02.) (유)바다향 (금기홍) 조미김 정기심사 미실시 인증취소 2025년 제11차 우수식품 심의 해양수산 전통 제90호 (2018.03.28.) 대진식품 (오종대) 조미김 농림수산 전통 제119호 (2020.07.22.) ㈜해우촌 (김승희) 조미김 농림수산 전통 제143호 (2018.04.23.) ㈜자양에프앤비 (공영순) 조미김 해양수산 전통 제34호 (2018.05.23.) 홍도식품 (오인석) 조미김 해양수산 전통 제92호 (2018.04.13.) ㈜흥일식품 (김도환) 조미김 해양수산 전통 제102호 (2018.04.19.) ㈜세진햇김 (배미옥) 조미김
2025. 7. 28 -
공지사항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 한국식품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공일자 : 2025. 7. 21. ○ 제공받는 기관 : 국민권익위원회 ○ 법적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제18조제2항제2호,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제6호, 제27조의2, 제29조 ○ 제공받는 기관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민원인, 직원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우수식품인증, 식품분석 및 검사, 구매 및 계약 민원인 및 소속 직원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 개인정보 보유기간 : 2025년도 종합청렴도 조사 완료 시까지 ○ 개인정보 파기 절차 및 파기 방법 : 조사 완료 후 국민권익위원회 및 조사위탁업체 시스템 내 정보 일체에 대해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괄 영구 파기
2025. 7. 28 -
공지사항
2025년 2분기 우수식품(KS,전통식품)인증 취소 업체 공지
1. 관련: 산업표준화법 제15조(제품의 인증), 제19조(정기심사 등), 제22조(인증의 취소), 제36조(청문 등), 식품산업진흥법 제22조(전통식품의 품질인증), 제22조의3(우수식품등인증 신청의 제한), 제29조1의2(우수식품인증의 취소), 제33조(청문 등), 행정절차법 제27조(의견제출) 및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산업표준(KS)인증 업무규정 제19조(인증받은자에 대한 조치사항), 전통식품 품질인증 인증업무규정 제19조(인증의 취소) 2. 관련 호에 따라 기한 내 정기심사 미실시 업체에 대한 의견제출을 요청하였으나, 기한 내 의견 미제출로 인하여 「산업표준화법」 제22조1의2, 「식품산업진흥법」 제29조1의2 및 「행정절차법」 제27조에 따라 해당 인증이 아래와 같이 취소되었음을 공지합니다. 3. 아울러 인증취소일로부터 1년간 동일 인증 취득이 불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가. 인증취소일자: 2025. 7. 8.(2025년 제10차 우수식품인증 심의 의결일) 나. 취소사유: 정당한 사유 없이 정기심사 미실시 다. 인증 취소 내용 구분 인증번호 (최초인증일) 업체명 (대표자) 규격명/표준명 (규격번호/표준번호) 취소사유 심의결과 비고 KS 식품연 제2019-13호 (2019.03.25.) 그리올푸드영농조합법인 (이종현) 절임류 (KS H 2139) 정기심사 미실시 인증취소 2025년 제10차 우수식품 심의 식품연 제2019-14호 (2019.03.25.) 액상차 (KS H 2514) 식품연 제2019-25호 (2019.04.16.) 에스와이푸드 주식회사 (김기정) 곰탕 (KS H 3120) 전통식품 식품연 전통 제1186호 (2021.02.01.) 우리콩참된장영농조합법인 (최시라) 청국장 (T003) 식품연 전통 제745호 (2015.03.06.) 농업회사법인㈜자연식품 (신민수) 김치류 (T020) 식품연 전통 제1194호 (2021.03.23.) 두리두리영농조합법인 (박해순) 된장 (T015) 식품연 전통 제1195호 (2021.03.23.) 간장 (T016) 식품연 전통 제976호 (2018.06.04.) ㈜나누리식품 (손창기) 김치류 (T020) 식품연 전통 제1082호 (2019.08.21.) ㈜임진강김치 (강정복) 절임배추 (T104) 식품연 전통 제1209호 (2021.06.30.) 도라지미 (박승희 외1명) 한과류 (T001) ※ 산업표준화법 제36조(청문 등), 식품산업진흥법 제33조(청문 등) 및 행정절차법 제27조(의견제출)에 따라 의견제출 요청하였으나, 의견제출일 내 의견 미제출로 관련 호에 따라 인증취소 심의 진행
2025. 7. 15
-
보도자료
식품연, 노쇠 완화 위한 약물 재창출 가능성 제시
식품연, 노쇠 완화 위한 약물 재창출 가능성 제시 - 기존 촌충 감염 치료제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 완화 기능 규명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이 기존 약물을 활용하는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 전략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가 노쇠를 완화하고 신체 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노화는 누구에게나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인 반면, 노쇠(frailty)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 기능이 약해지고 질병에 취약해지는 상태이다. 노쇠는 건강한 노년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므로 조기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나, 현재까지 노쇠 치료를 위한 약물이 없는 상황이다. 식품연 정창화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시판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을 새로운 질환의 치료에 활용하는 약물 재창출 전략에 주목했다. 그 결과 예쁜꼬마선충(C. elegans) 기반 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해 발굴한 FDA 승인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가 노쇠 치료에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원래 촌충 감염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약물로, 오랜 사용을 통해 높은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제조비용이 낮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며, 최근에는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밝혀지면서 여러 질환에서 활용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니클로사마이드가 실험용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쇠 관련 특징들을 개선했으며, 노화 생쥐에서도 노쇠지표를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니클로사마이드는 노화로 인해 근육량이 감소한 생쥐의 대퇴근, 비복근, 삼두근 등 주요 골격근에서 근육량을 유의미하게 회복시켰다. 또한 골격근 내 노화세포의 지표로 알려진 p16, p21, p53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개선하여 에너지 대사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니클로사마이드가 노화로 인한 근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대사기능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예방 기전(mechanism)으로는 노화로 인해 과활성화된 mTORC1 신호경로를 조절하여 근육단백질 분해를 유발하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억제하고, 자가포식 플럭스(autophagy flux) 기능을 회복해 단백질 항상성(proteostasis)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다학제(multidisciplinary)분야의 국제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 중 하나인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F 13)’에 게재되었다. 식품기능연구본부장 정창화 박사는 “니클로사마이드의 노쇠예방 효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 확인된 것”이라며, “노쇠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로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5. 8. 13 -
보도자료
식품 속 숨은 정보, 이제는 ‘클린라벨’로 한눈에!
식품 속 숨은 정보, 이제는 ‘클린라벨’로 한눈에! - 식품연, 합성 첨가물 줄이고 소비자 신뢰 높이는 새로운 인증제도 마련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은 소비자가 보다 안심하고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내 가공식품 산업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식품 인증제도인 ‘클린라벨(Clean Label)’ 인증 제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한국식품과학회에서 단체표준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오는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클린라벨 인증’은 가공식품에 불필요한 식품첨가물의 사용을 줄이고,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성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클린라벨은 건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식품 선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식품연이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품 구매 형태 및 클린라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식품 구매 시 가장 우려하는 요소로 ▲식품첨가물(23.7%) ▲환경호르몬(19.5%) ▲칼로리(17.5%) 등이 꼽혔다. 또한 “첨가물을 줄이거나 무첨가 식품에 더 신뢰가 간다”는 응답의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72.8점으로, 소비자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높은 경각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클린라벨은 1990년 영국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간단하고 투명한 성분명 사용, 자연 유래 또는 최소 가공 원재료 사용, 화학적 합성첨가물 지양 등을 원칙으로 한다. 이번 국내 인증제도는 이를 바탕으로 ▲합성첨가물 미사용, ▲유전자변형생물(GMO) 원료 및 방사선 조사 성분 배제, ▲위생적인 제조공정 확보 등 건강한 가공식품 생산을 위한 구체적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클린라벨 인증은 ‘단체표준’ 형태로 제정되며,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원료 성분, 제조 환경, 품질 검사 결과 등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에는 겉포장에 인증 마크가 부착되어, 소비자가 한눈에 확인하고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인증 이후에도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통해 신뢰를 유지할 예정이다. 해당 인증제도는 2025년 7월 한 달간의 단체표준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2025년 내 정식 시행된다. 인증 운영은 (사)한국로하스협회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현재 협회는 인증 업무 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인증을 신청하려는 기업은 인증신청서, 식품품목제조보고서, 원료수급확인서, 시험성적서, 사업자등록증 등 품질 검증에 필요한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식품연은 제도 시행 이후, 관련 기업의 인증 획득을 지원하고,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의 도입을 통해 ▲식품 제조 현장의 품질 관리 수준 향상 ▲식품기업의 가공 품질 경쟁력 강화 ▲국민 건강 증진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식품 원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건강한 식품 가공’ 문화를 확산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연 최윤상 박사는 “클린라벨 인증은 국민이 믿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선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과학적 장치”라며,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이 제도를 통해 건강한 식품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5. 8. 13 -
보도자료
국산 밀의 모든 품질정보 여기에 있다
국산 밀의 모든 품질정보 여기에 있다 - 식품연, 국산 밀 생산지역, 생산연도 및 용도 별 품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완료 -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은 국산 밀 생산단지와 수요기업에서 품질관리와 제품 제조에 활용이 가능한 품질 및 가공특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밀은 단백질 함량과 글루텐의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달라 객관적인 품질데이터가 매우 중요하나, 가공업계 등 수요처의 요구에 맞는 품질데이터가 부재하여 국산 밀을 활용한 제품 제조와 개발이 부진한 실정이다. 이는 국산 밀의 수요 확대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식품연은 국산 밀의 수요 확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해 수확후관리와 품질관리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전국 산지에서 생산되는 국산 밀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품질과 가공적성과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제품 제조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현장 활용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식품연 스마트제조연구단 김훈 박사 연구팀은 국산 밀 생산현장, 수요기업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금강, 새금강, 백강 등 정부보급종 3품종과 2021∼2024년산 국산 밀 원맥 품질, 밀가루 품질 및 반죽 품질, 제품 품질 등 740점의 데이터셋을 구축하였고, 해당 데이터셋은 식품연의 식품데이터플랫폼(data.kfri.re.kr)에 공개하였다. 한편 전체 출연연의 연구데이터 공개 플랫폼인 DataON(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운영)과도 연계하여 검색 가능하다. 김훈 박사는 “이제까지는 국산 밀의 품질 데이터가 부족하여 생산현장의 품질관리와 제품 개발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 생산뿐 아니라 국산 밀의 객관적인 품질 관리와 품질 향상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5. 7. 29
-
채용정보
2025년 제2차 박사후연구원 채용 공고
지원서 작성 세부 사항은 첨부된 공고문 및 연수제안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서 제출 시 제출서류는 'PDF'로 업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2025. 8. 8 -
채용정보
2025년 제1차 체험형 인턴 채용 2단계 전형 결과 합격자 및 예비합격자 안내
2025년 제1차 체험형 인턴 채용 2단계 면접전형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안내사항을 충분히 숙지하신 후 인재개발실(063-219-9212)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25. 7. 23 -
채용정보
2025년 제1차 체험형 인턴 채용 1단계 전형 결과 및 2단계 전형 안내
2025년 제1차 체험형 인턴 채용 1단계 서류전형 결과 및 2단계 면접전형 계획을 안내 드리며,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안내사항을 충분히 숙지하신 후 인재개발실(063-219-9212)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25. 7. 18
Food technology
건강 한국 실현에 기여하는 세계 수준의 식품 연구기관
-
식품연구개발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KFRI
우리가 내일을 연구하는 이유는
바로 당신입니다한국식품연구원이 국민 행복과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는 글로벌 식품연구기관으로
오시는길
국민 여러분과 함께 더 나은 식품 산업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