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 연구분야
연구공간중점 연구분야국민안전먹거리 제공
항생제 내성균의 인체노출 확률 모델 개발 및 평가
연구내용 및 특징
- 축산식품 및 신선편의 식품에서 분리된 대장균 중 382주의 항생제 다제내성 및 병원성인자 양성 균주를 대상으로 Rep-PCR 기반 유전적 상동성 분석
- 항생제 내성균이 식품을 통해 인체에 전달되는 수준 분석 및 관리옵션 제시
주요성과
- J. Korean Soc. Appl. Biol. Chem. 등 3편
- 국내특허 (10-2014-0095790) 등 1건 출원
- Int Conference on Food Safey 구두발표 등 4건
- 비임상 항생제 내성균 노출경로 분석으로 안전관리 기반 정보 제공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항생제 내성 안전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정보로 활용
- 비임상분야의 항생제 내성균 오염수준 평가로 효율적인 내성관리
- 비임상 항생제 내성균 노출 경로 분석에 활용

[ 항생제 내성균의 유전적 상동성 분석 ]
테라헤르츠 분광/영상 기술기반 식품 이물질 실시간 탐지기술
연구내용 및 특징
- 식품 내 이물질 혼입에 의한 식품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포장된 상태로 테라헤르츠 파장 대역의 빛을 투과시켜 식품 내부에 은닉된 이물질 신속 탐지 기술 개발
-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광원개발, 고감도 검출기 개발, 실시간 탐지를 위한 시스템 제작 등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의 융합연구
주요성과
- Food Control 등 3편
- 국내특허(10-1365261) 등 3건 등록, 1건 출원
-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벌레 등 연질성 이물 검사기술 개발 및 상용화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식품 이물 탐지기술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F2T) 전 단계에 걸쳐 실시간으로 이물 확인 가능
- 식품 안전 여부의 신속한 확인과 식품 안전사고의 사전 예방으로 식품산업, 정부의 신뢰성 제고 및 국민건강 증진 기여
[ 식품이물 검사장치 개발 ]
[ 식품내 은닉된 이물 검사결과 및 활용 ]
에너지리사이클링 기술을 적용한 통합형 수배송 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및 특징
- 온도유지 특성이 요구되는 농식품 저온 유통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Peltier effect 통한 기전력 발생 원리를 적용한 열전소자 메카니즘 구현
- 현재 3~5일 정도인 택배형 저온 유통 기간을 10일 이상 장기간 수배송이 가능한 내부온도 유지 및 순환 방법으로 구현
주요성과
- 국내특허 (10-2015-0126095) 등 2건 등록, 2건 출원
- 냉동장치가 없는 농식품 선도 유지 저온 수배송 시스템 최초개발 증명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 캡슐방식과 시멘팅혼합 제조로 잠열량이 211 j/g 이상인 잠열재 구현 가능
- 잠열재 및 열전소자를 적용 농식품 유통 온도대별 온도유지 시간을 36hr에서 180hr 실용화
[ 열전소자 및 PCM을 응용한 통합형 수배송 시스템과 투영도 ]
[ 상변화물질의 마이크로캡슐효과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건조기술 개발
연구내용 및 특징
-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곡물건조공정에서의 소요에너지 및 이산화탄소발생량을 절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 및 운영기술 개발
- 왕겨 연소 및 건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소시스템 및 건조열원 공급장치의 최적 설계기법 개발과 시작품 제작을 통한 산업화 기술 개발
주요성과
- Applied Eng. in Agri. 등 3편
- 국내특허(10-1358381) 등 3건 등록, 4건 출원
- 왕겨연소열을 이용한 건조기술 유상기술이전 1건
- 수출전략형 모델 생산체계 구축 (2016년)
- 해외 수출시장 진출을 위한 2단계 실용화 연구진행 (KEIT)
- 곡물건조과정의 에너지절감을 위한 바이오매스 연소열 이용기술 개발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곡물건조공정에서 소요에너지 및 이산화탄소발생량 40% 감소를 통해 건조비용 절감 기대
- 목재, 농업부산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 연소에 활용 가능
-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 상용화 기술을 통해 수출전략형 건조시스템에 활용 가능
[ 시뮬레이션에 의한 설계인자 구명 ]
[ 바이오메스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 ]
u-식품 품질관리 센싱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 개발
연구내용 및 특징
- 식품기술과 ICT를 융합한 u-식품 품질관리 센싱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 개발
- GPS+WCDMA+센서태그를 이용하여 신선식품의 유통환경, 차량위치 및 품질이력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품질유통 기술 개발
- 한국식품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워싱턴주립대학교, ASN 공동연구
주요성과
- ACM Trans. Sens. Netw. 등 14편
- 미국특허(14/957742) 1건 출원, 국내특허(10-201200135474) 등 4건 출원
- 식품 스마트 품질/이력 정보제공을 위한 RFID와 품질센싱 융합기술 개발
- ICT기반 신선식품 스마트 품질유통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식품의 유통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이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환경 구축
- 국내·외 신선식품 품질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 활용

[ 신선식품 스마트 품질유통 시스템 ]
지능형 식품 생산, 유통 환경 제어시스템 개발
연구내용 및 특징
- 식품의 품질, 유통 등 정보인프라와 u-IT 기술을 융합하여 쌀이력추적시스템 개발
- 들녘별경영체와 RPC와의 생산/반입관리시스템, 확장형 수율/재고관리시스템, On-Line 품질관리시스템 개발
- 산업화 적용을 위한 시스템 통합과 Full Chain에 대한 테스트베드 구축
주요성과
- Trans. ASABE 등 6편
- 국내특허(10-1423646) 등 6건 등록, 6건 출원
- 기술이전 총 2건 (기술료 누적금액 3억원), 2건 이전추진중
- 농림축산식품부 자금지원으로 2ndG RPC (전북익산 소재, 민간 RPC)대상 시범사업 진행중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1세대 및 2세대 RPC의 효율적인 생산, 반입, 가공, 품질 및 이력관리로 국내 쌀산업 발전에 기여
- 국가차원에서 쌀 이력추적시스템 구축사업의 기본기술로 활용 기대
[ IT기반 u-RPC 기반기술구 ]
[ 모바일 기반 반입이력추적시스템 ]
신선편이 농수산물의 식중독균 저감화 기술
연구내용 및 특징
- 고효율의 저농도 (100ppm 이하) 이산화염소 가스 생성기술, 고농도 (60ppm 이상)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기술, 갈변 및 세정력이 강화된 차아염소산수 생성방법 개발
- 이산화염소(수)와 차아염소산수의 단독/복합 및 식중독균에 특이적인 Bacteriophage의 병용 처리를 통한 효율적인 저감화 기반기술 개발
주요성과
- Food Control 등 7편
- 국내특허(10-1471122) 등 2건 등록, 2건 출원
-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이산화염소 살균처리기술 기술이전 1건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살균소독수 이용 공정을 기반으로 화학적/생물학적 복합처리 방법과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선편이 농수산물의 효율적인 식중독균 저감화 가능
- 신선 농산물 및 비가열식품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산업체로의 기술확산과 교육, 홍보, 훈련을 위한 지침서 및 기초자료로 활용

[ 신선편이 농수산물의 미생물학적 복합저감화 및 유지기술의 개념도 ]
Smart u-Food System 구축 모델 개발
연구내용 및 특징
- Dynamic 식품 품질예측기술과 ICT 기술을 융합하여 식품의 포장을 뜯지 않고도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로 식품의 신선도 상태, 품질정보, 유통온도이력, 잔여유통기한 및 생산이력 등을 언제 어디서나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차세대 식품 안전 유통 기술 개발
주요성과
- Food Microbiol. 등 30편
- 해외특허(US 9,016,564) 등 2건 등록, PCT 출원 5건, 국내특허(10-1315902) 등 18건 등록
- 세계 최초 웹기반 개체 포장식품 품질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식품예측 시스템 구축 (u-Food KFRI RQMS-Sever)
-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기술이전 1건 (단체급식용 식자재 스마트 품질유통 시스템)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ICT 융합 식품유통 안전관리 시스템구축을 통해 국민에게 안전 먹거리 제공 가능
- 과학적인 근거를 통한 실시간 유통관리로 식품관련 사고 사전예방, 유통 중 신선도 유지 및 손실의 최소화 기대
[ u-food 스마트 품질모니터링 시스템 인터페이 ]
[ 연구결과 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