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으로 간편하게 원하는
한국식품연구원의 정보를 찾아보세요

    Disclosure of information

    누구나 안심할 수 있는 식품을 위한 우리의 여정은
    모두의 행복한 순간으로 변하고 더 큰 도전을 위한 에너지가 되기도 합니다

    공공데이터 개방

    정보공개공공데이터 개방국가표준식품성분표 DB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식품기술(food-description)

    식품성분표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모든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영양소를 분석하여 식품별로 정리한 책자로 1970년 농촌진흥청에서 처음 발간하였다.
    표준식품성분표 제8개정(2011)은 2,757종 식품의 각종 영양성분이 수록되어 있고 5년 주기로 발간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2002년 국제식품성분데이터기구로부터 한국의 대표기관으로 선정되어 국가식품성분데이터의 중심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기능성성분표

    식품에 특수 또는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영양•생리활성 성분에 관한 분석 자료를 성분별로 정리한 책자로 2009년 농촌진흥청에서 처음으로 발간하였다. 기능성성분표 초판에는 약 250종 식품의 각종 폴리페놀류, 특수비타민, 식이섬유 등 기능성성분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아미노산,무기질/지방산, 콜레스테롤, 지용성성분에 대해 각각 책자로 발간하였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 개요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1970년 초판이 발간되어 약 5년 주기로 개정되고 있다.
    각 개정판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 수록식품수, 성분, 데이터수, 발행연도 리스트
    구분 수록식품수 성분 데이터수 발행연도
    초판 476 17 8.092 1970
    1개정판 541 17 9.197 1977
    2개정판 815 17 13.855 1981
    3개정판 1.080 17 18.360 1986
    4개정판 1.426 19 27.778 1991
    5개정판 2.163 19 41.097 1996
    6개정판 2.337 19 44.403 2001
    7개정판 2.505 19 47.595 2006
    8개정판 2.757 22 60.654 2011
    •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직접 분석한 자료와 국내외 수집 자료를 함께 수록하고 있어서, 출처 검색에서는 농촌진흥청,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수산과학원, USDA(미국), JAPAN(일본), 기타로 검색할 수 있다.
    •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식품 100g 단위에 대한 영양소 함량을 원칙적으로 제시한다. 분량기준 검색에서 1회 섭취분량은 성인기준으로 제시하였으며, 소비자가 알기쉬운 식품영양가표 자료를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