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 연구분야
연구공간중점 연구분야기타 연구분야
전통식품의 역사·과학적 근거기반 콘텐츠 구축 및 활용
연구내용 및 특징
- 한국전통식품 참조표준 KFSR (Korea Food Standard Reference)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전통식품 온톨로지 (Ontology)기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 전통식품의 ICT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융복합 비즈니스 모델 개발
주요성과
- J. Nutr. Biochem. 등 4편
- 국내 특허 (10-1355830) 등 등록 1건, 출원 2건, PCT 출원 1건
- Allymethylsulfide (AMS)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 및 기전 구명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전통식품의 역사·과학적 근거 기반 확보 통한 우수성 입증
-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국 식품정보의 정보 표준화 기반 마련
- 시맨틱 (Semantic) 통합정보 서비스 인프라 기반 구축
- 정보 3.0에 부응한 신산업 창출기반 마련

[ 발효식품 통합 오톨로지 구축화면 ]
식품분야 국가지식 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연구내용 및 특징
- 국제 영문 학술지 Journal of Ethnic Foods (JEF) 발간
- JEF의 온라인 학술정보시스템 (ScienceDirect, Google Scholar, Worldwidescience) 등재
- 과학기술, 원료소재 등 8개 분야 10,000건 이상의 통합 식품정보 DB 구축
- 다매체 연동형 (3-screen) 전통식품포털시스템 운영
주요성과
- 국내 특허 (10-14-0166565) 등 2건 출원
- J. Korea Contents Assoc. 등 2편 학술발표
- 전통식품의 국제적 콘텐츠 활용을 위한 다매체연동형(n-screen) 시스템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국내외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 구축
- 국제영문학술지 J.Ethnic Foods 발간을 통한 각국 민속식품의 학술가치 제고
- 국내외 식품정보의 융합 서비스 기반 마련
[ JEF 창간호 표지 ]
[ 다매체연동형 포털시스템 메인화면 ]
우리술 전문가 양성교육
연구내용 및 특징
- 양조기술이나 경영능력, 위생 및 안전관리, 판매 애로 등으로 고품질 주류생산 및 마케팅이 취약한 현실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맛·향을 고려한 고품질 우리술 제조기술을 표준화하여 전통주의 명품화, 세계화를 앞당길 수 있는 제조기술을 교육
- 영세업체의 공통사항인 우리술 용기·포장 디자인의 고품격화, 개발에 따른 원가절감과 홍보 우리술의 품질개선, 위생관리, 시설의 현대화, 제조기술의 표준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
주요성과
- 18명의 수료생 배출 (누적인원 : 95명)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우리 술(전통주 등) 전문가 양성을 통하여 국내 술 산업 활성화 및 세계 명품화를 실현하고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계승․ 발전 및 국가 이미지 상향 제고
-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접목하여 우리술의 품질 향상 기대
[ 교육생 해외연수 ]
[ 주류 분석 실습 ]
미얀마 농산물 수확 후 기술관리 지원사업
연구내용 및 특징
- 농산물 유통기술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해 농산물 수확 후 관리 기술을 동남아 최빈국인 미얀마에 지원
- 미얀마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정책을 자문하고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 훈련센터 건립하여 현지 적정한 기술을 자체 개발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국내 최초 Package형태의 시범사업
주요성과
- 미얀마 정부 표창
- 수확 후 관리기술 훈련센터 운영프로그램 개발
- 미얀마 정부 조직내 편입을 통한 안정적 운영 기반 구축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훈련센터의 미얀마 정부 자체 운영을 통한 신선 농산물 적정 유통기술의 현장보급
- 수확 후 유통손실 경감과 미얀마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통한 미얀마 농민의 삶의 질과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
- 기술지원을 통한 한-미얀마 우호증진과 관련 산업협력 촉진
[ 훈련센터 전경 ]
[ 실습동 내부 ]
한-아세안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 협력 사업
연구내용 및 특징
- ASEAN 회원국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신선 농산물의 품질 유지를 위한 수확 전 및 수확 후 처리, 저장, 포장, 유통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 강의, 실험실습 및 현장견학 실시
- 전문가를 파견하여 ASEAN 회원국의 신선 농산물 수확 후 관리를 위한 현장 애로 기술 자문
- 한-아세안 신선 농산물 수확 후 관리 기술 Web site 개선
주요성과
- ASEAN 회원국의 수확 후 관리 기술 전문가 18인 배출 및 국내 전문가 파견(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을 통한 현장애로 기술지도
기대효과 및 활용분야
- ASEAN 회원국 농산물 수확 후 관리 전문 인력 양성 및 농산물 유통기술기반 축적
- 2002년부터 지속된 사업 내용 및 회원국의 평가를 통해 국가 브랜드 제고 기여
- ASEAN 국가의 농업 부문 발전과 농촌경제 활성화를 통하여 우호협력관계 증진
[ 한-아세안 농산물 수확후 관리기술 협력사업 ]
[ 아세안 연수생 충주 APC 현장견학 ]